리액트, 기본 소양으로 가져가도 될 것 같음.
3년 차쯤이었나…?
리액트가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로 유행이라는 소식에 실무에서 써보고 싶었지만,
당시 SI 환경에선 jQuery가 킹오브킹. 실무랑 학습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어서 언젠간 리액트를 써보겠다는 마음으로 틈틈이 공부했음.
결론? 흐지부지.
그래서 리액트 흉내 내보겠다고 공통 코드 정리, 컴포넌트화, 마운트 같은 걸 이것저것 시도해봄. 나름 유용하게 쓰긴 했는데… 오래된 일이라 잘 기억은 안 남.
아직 공부 중이라 잘 모르지만, 리액트의 props와 state 기반 렌더링 개념이 꽤 마음에 듦. 실무에서 jQuery 쓸 땐 SPA 구현하려고 99.9% Ajax만 써서 고통받았는데,
리액트는 기본 전제가 리렌더링이잖아?
물론 fetch 같은 데이터 호출은 useEffect로 초기 렌더링 때만 실행되게 하면 됨.
근데… 뭔 놈의 훅이 이렇게 많냐?
이거 다 외워야 하나? 😵💫
728x90
반응형
'생각정리 > 데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크스팩 (0) | 2025.02.19 |
---|---|
2025-02-06 React, useEffect() (0) | 2025.02.06 |
2025-02-04 컴포넌트, 생명주기(lifecycle), 렌더링, 리액트훅 (0) | 2025.02.04 |
2025-02-01 리액트 스터디 메모 (2) | 2025.01.27 |